정보

부모급여, 이사하면 어떻게 될까? 💸

ERDA 2025. 5. 20. 17:19

 

 

“이사했더니 부모급여 안 들어왔어요!” 지역을 옮기면서 생기는 가장 흔한 궁금증이죠.
결론부터 말하면, 부모급여는 이사했다고 자동 종료되지 않습니다. 하지만 지급이 끊기지 않도록 꼭 챙겨야 할 절차들이 있어요.
이 글에서 하나씩 알려드릴게요.

 

 

✅ 부모급여, 지역 이동 시 이렇게 하세요

 

📌 1. 이사 전 받고 있었다면, 자동 종료 NO

 

기존 주소지에서 부모급여를 받고 있던 분이라면,
이사했다고 해서 급여가 중단되진 않아요.
다만, 이전한 주소지에서도 수급 이력을 확인해야 하므로, 정보 이전이 필요합니다.

 

🏡 2. 전입신고만 하면 끝? → 거의 맞지만, 확인은 필수!

 

전입신고를 하면 대부분 사회보장정보시스템을 통해 정보가 연동돼요.
하지만 지자체마다 업무 처리 속도나 방식에 차이가 있어서
급여 지급이 지연되거나 보류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.

👉 전입신고 후 3~5일 내에 새 주소지 주민센터에 전화해 꼭 확인하세요.
“부모급여 계속 지급되는지 확인하고 싶어요”라고 말하면 OK!

 

 

 

💡 실전 정보 정리

상황 / 해야 할 일
부모급여 받고 있는 중 이사 전입신고 후, 새 주민센터에 연락해 수급 여부 확인
급여가 갑자기 끊겼다면 기존 수급 이력으로 소급 지급 가능 → 빠른 확인 필수
새 주소지 지자체가 조례 등으로 추가 지원하는 경우 관련 서류 다시 제출 요청 받을 수 있음
이사 전 신청을 아직 안 했던 경우 새 주소지 기준으로 최초 신청 진행하면 됨
 

 

 

❓ 많이 묻는 질문

 

Q. 온라인으로 처리할 수 있나요?

네!
복지로 홈페이지나 앱을 통해
부모급여 신청/변경 및 수급 정보 확인이 가능합니다.

 

Q. 꼭 주민센터에 방문해야 하나요?

반드시 방문해야 하는 건 아니지만,
급여가 지연되면 빠른 해결을 위해 직접 방문 또는 전화가 훨씬 수월해요.

 

Q. 다시 신청해야 하나요?

**아니요, 원칙은 ‘재신청’이 아니라 ‘정보 갱신’**이에요.
다만, 일부 지자체에서는 양식만 다시 받는 경우도 있으니
전화로 한 번 더 확인하는 게 좋아요.

 

Q. 부모급여가 끊겼는데 어떻게 해야 해요?

💡 중단된 날짜 이후로 다시 소급 지급되는 경우가 많습니다.
서류 누락이나 정보 미이전 때문에 일시적으로 끊긴 경우가 대부분이라
빠르게 처리하면 문제 없이 이어서 받을 수 있어요.

 

 

📍 꼭 기억하세요

  • 이사했다고 부모급여는 끊기지 않아요.
  • 전입신고 후 ‘급여 지급 상태’ 꼭 확인!
  • 지급 지연 시, 소급 신청 가능성이 높으니 안심하세요.
  • 복지로 앱으로도 확인 가능하지만, 전화 한 통이 제일 확실합니다