정보

생후 1개월, 아기가 안 잘 때 아기를 봐줄까 말까

ERDA 2025. 5. 7. 15:52

 

생후 35일, 아기가 갑자기 잠을 안 자고 깨어 있는 시간이 많아지면 부모님들은 걱정이 많아집니다. "혹시 어디 아픈 건 아닐까?", "잠을 안 자도 괜찮을까?" 하는 고민이 자연스럽게 생기는데요. 오늘은 이 시기 아기의 적절한 수면시간과, 아기가 잠을 안 잘 때 부모가 어떻게 해야 할지 자세히 알려드릴게요. 😊

 

✔ 생후 1~2개월 아기의 정상 수면 패턴

생후 35일 아기는 아직 수면 주기가 매우 불규칙합니다. 일반적으로 이 시기 아기의 수면 패턴은 이렇게 볼 수 있어요.

  • 👉 하루 총 수면시간: 14~17시간
  • 👉 낮잠: 하루 4~6회, 각 30분~2시간
  • 👉 밤잠: 밤에 8~10시간 (하지만 중간중간 2~4시간마다 깨서 수유)

즉, 낮잠을 조금 덜 자더라도 밤에 잘 자면 전체 수면량은 채워질 수 있어요. 반대로 밤에 뒤척이더라도 낮에 보충할 수도 있습니다.

 

 

❗ 이런 경우 소아과 방문 권장

다만 다음과 같은 상황이 있다면 꼭 소아과 진료를 보셔야 해요.

  • 🔸 하루 총수면이 10시간 이하로 지나치게 적음
  • 🔸 계속 칭얼대고 잠도 못 자며 보채는 상태
  • 🔸 수유량이 급격히 줄거나 체중이 감소
  • 🔸 고열, 발진, 구토, 탈수 등 증상이 동반됨

 

 

👶 아기가 잠 안 잘 때, 봐줘야 할까? 그냥 둘까?

 

많은 부모님들이 "아기가 안 자는데 계속 안아줘야 할까, 그냥 둘까?" 고민하시는데요. 이 시기 아기는 아직 스스로 잠드는 능력이 부족해서 가능한 한 달래주고, 안정감을 주는 게 좋아요.

  • ✅ 안아주기 & 토닥이기: 엄마·아빠 품에서 아기는 심리적 안정감을 느낍니다.
  • ✅ 환경 만들기: 조용하고 어두운 환경에서 재우기 시도
  • ✅ 졸릴 때 내려놓기: 완전히 잠들기 전에 눕혀서 스스로 잠드는 연습도 시도해보세요.

하지만 주의할 점도 있어요. 너무 오래 안거나 흔들어주기만 하면 안아야만 자는 습관이 생길 수 있습니다. 그래서 달래줄 땐 사랑스럽게 안아주되, 졸리기 시작하면 눕혀주는 연습이 중요해요.

 

💡 아기 수면 돕는 팁

  1. 낮과 밤 구분: 낮에는 커튼 열고 밝게, 밤에는 조용하고 어둡게
  2. 같은 시간, 같은 루틴: 예를 들어 목욕 → 수유 → 안아주기 → 잠
  3. 배불리 먹이기 & 트림: 배가 고프거나 속이 더부룩하면 잠을 못 자요
  4. 백색소음 활용: 심장 소리나 부드러운 소음을 틀어주면 도움돼요